코로나19 영향으로 실물경제(자영업자폐업속출)는 하락하고 주가는 상승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주부12단 입니다.
2020년 1월 중국 우한발 코로나19 바이러스 영향으로 실물경제가 위축되는 반면 주식시장은 최고조로 상승하는 이유에 대해 한번 생각해 보았습니다.
*본 내용은 지극히 개인적인 내용이며 거시적인 관점에서 생각하는 것이오니 재미로 읽어주시기 바랍니다.
경제위기가 오면 국가는 경기부양책을 내놓습니다.
정부 입장에서 즉각적으로 낼 수 있는 대표적인 정책은 기준금리(r) 인하와 통화량(M2)을 증가 입니다.
오늘은 금리와 통화량에 따라 객관적인 통계자료를 통해 거시경제학에서 배웠던 화폐수요와 금융정책이 실물경제에 맞는지 확인해 보겠습니다.
기준금리(r)인하
한국은행에서 결정하는 기준금리(=이자율)인하 결정은 미국의 연방은행 금리와도 밀접하게 관련이 있지만 2008년부터 우리나라는 꾸준히 금리가 인하되어 이러한 정책기조아래 연0.50%로 운용하고 있습니다.
M2(광의통화)지표
광의통화량은 현금을 발행하는 지표로 생각하시면 됩니다. 시중에 풀린 화폐수량인데 현 문재인정권 들어서 통화량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시중에 현금이 많아지면 물가(P)가 높아지고 인플레이션율이 증가 합니다.
*화폐수량설(Fisher) MV=PY
통화량(M)이 증가할 때에는 물가(P) 또는 소득(Y=GDP)가 상승해야 하지만 우리나라 국민소득은 증가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통화량(M2)가 증가하면 화폐가치는 떨어지기 때문에 현금을 가진 자들은 부동산 또는 주식에 투자를 하게 됩니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는 집값 안정을 위해 부동산억제정책으로 현금이 주식시장으로 쏠림 현상이 일어 났습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지금 느끼는 경제상황과 미래 전망이 밝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주식시장 쏠림 현상으로 주가지수는 상승한 것입니다.
그러면, 앞으로 주식시장전망은 어떻게 될까요?
또는 화폐가치 하락을 방어하기 위해 어떠한 선택을 해야 할까요?
부동산, 주식?
한쪽으로 치우치기 보다는 7:3, 5:5 등 자산을 배분하여 위기관리를 하시는게 노후를 위한
안전한 자산관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늘은 주부12단의 주식시장과 실물경제 사이의 괴리감에 대해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습니다.
바이바이~